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271)
[js] eval을 이용해서 계산기 만드는 방법 입력 받을 창을 먼저 만든다. onclick="cc(this.form)" 클릭하면 아래로 넘겨주기 function cc(ss){ ss.num.value = eval(ss.lim.value); } 넘겨 받는 함수 eval(ss.lim.value) eval() --> 괄호 안을 계산 ss.num.value = eval(ss.lim.value); --> 계산한 것을 ss.num.value 이곳에 대입한다. 그럼 두번째 창에 답이 나옴
[js] select에서 단일 입력 및 출력(전공선택) 전공 컴퓨터 정보통신 법학 경영학 영문학 var idx = ff.ss.options[ff.ss.selectedIndex].value; ff.ss.셀렉트 되어 있는 것을 찾는다. value 그걸 갖고와라 ff 폼 이름이 ss인 것에 selectedIndex 선택되어진 것 value 갖고와라 멀티가 아니라 하나만 갖고 와라 여기서 selectedIndex 이 문장은 select문에서 사용함 document.write(idx); --> 페이지에 갖고 와라
[js] checkbox에 입력된 값을 읽고 출력(취미 체크) 취미 축구 배구 농구 등산 테니스 onclick="Check(this.form);" --> onclick 클릭 했을 때 this.form (form에 있는 모든 걸 가지고 가) Check(this.form); 인수 Check(ff){ } 가인수 function Check(ff){ { msg += ff.cb1.value; + "\n"; } function Check(ff){ var msg = ""; if(ff.cb1.checked) { msg += ff.cb1.value; + "\n"; } if(ff.cb2.checked) { msg += ff.cb2.value; + "\n"; } if(ff.cb3.checked) { msg += ff.cb3.value; + "\n"; } if(ff.cb4.checked)..
[js] radio 버튼 읽고 출력하기 (성별체크) 이러한 버튼을 만들고 체크를 누르면 내가 누른 버튼의 값을 출력하려고 한다. 성별 여자 남자 1. 가장 먼저 해줘야 할 것은 체크 박스 틀을 만드는 일이다. 지금까지 배운대로 으로 틀을 만들고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버튼과 확인(체크) 버튼을 만든다. 성별 여자 남자 그 영역이 여기에 해당하는 것이다. 여자 name을 설정 (flower) value 값은 첫화면에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. 함수에 들어가서 반환될 용도로 만든 것이다. onclick 클릭하면 test_sample();
[js] 1차원, 2차원 배열(Array) 이해하기 1차원 배열 [0] [1] [2] 2차원 배열 [0][0] [0][1] [0][2] [1][0] [1][1] [1][2] 3차원은 입체적인 방식이고 4차원까지 있다고 합니다. 그러나 자주 쓰이는 것은 2차원까지!! 변수 c1에 순서대로 값을 입력하고, 그대로 출력을 해준다. 대신 배열을 정의할 때는 [] 대괄호 안에 넣어줘야한다. 반복문이라서 for문을 사용하는데 주의할 점은 [0]부터 시작한다는 점! 때문에 4가지 숫자가 있다면 i의 값이 0~3까지 되어야 한다. 4까지 하는 경우 숫자 뒤에 undefined(정의가 안 됨) 같이 출력이 된다. 10 15 20 30 for(i=0; i
[js] While문 + Do While문 [js] 1부터 100까지의 합을 구하기(반복문-for) 반복문이란? 어떠한 조건을 반복적으로 실행할 때 사용한다. if문에 이어서 가장 많이 사용! for(초기값; 조건값; 증가값){ 실행 } 1부터 100까지 합 1부터 100까지 합 var sum = 0 practice365.xyz 실행 for문과 비슷한 while문으로 실제론 for문을 많이 쓰지만 알아 두면 좋을 것 같아서 기록해 둡니다. for(초기값; 조건값; 증가값)과 다르게 초기값 선언을 밖에서 해주고 조건값만 while() 안에 써줍니다. 실행 말 그대로 먼저 do를 한 번 무조건 계산하고 뒤에 while 조건값이 나올 때까지 중복 계산을 해줍니다.
[js] 중첩 for문 - 별찍기 중첩 for문은 말 그대로 for문 안에 또 for문이 있는 것입니다. 실행 i는 1부터 10까지 실행이 되고, j는 i의 숫자 만큼 실행이 됩니다. 그래서 1열에는 1행까지만 2열에는 2열까지 순차적으로 늘어나는데요. 그 숫자 만큼 별(*)이 출력 되는 과정입니다. function tree(){ for(i=1; i=i; j--){ document.write("*"); } document.write(" "); } } j를 10부터 시작하고 j>=i 일 때 실행을 하면 위 그림과 반대로 출력이 됩니다. 증가가 되는 게 아니라 증감이 되어야 하는 게 맞겠죠? 그래서 i줄은 그대로고 j만 (j=10; j>=i; j--)가 됩니다. 그리고 위에 두 개를 합치면 이런 모양이 나온답니다^^
[js] 1부터 100까지의 합을 구하기(반복문-for) 반복문이란? 어떠한 조건을 반복적으로 실행할 때 사용한다. if문에 이어서 가장 많이 사용! for(초기값; 조건값; 증가값){ 실행 } 1부터 100까지 합 var sum = 0; 자바스크립트는 원래 초기화 및 선언을 안 해도 되지만 깨끗한 상태에서 계산하기 위해 해줬다. sum이 결과값이 될 예정이고 for(i=0; i