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개발일지/기타

[GitHub] VSCode에서 깃 사용법

 

이번 프로젝트에선 보안 관련된 상황에 의해 로컬 컴퓨터에서 작업을 하지 못 하고 원격으로 작업을 해야만 했다. 그쪽 작업 환경의 경우 원격 프로그램을 통해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없었으며, 클라우드 시스템을 사용 못 하는 상황이라 git으로 변경 내용을 업데이트 해야해서 Git을 사용하게 됨. 사실 이게 제일 베스트인 방법이기는 하나, 기존 로컬 환경에서는 이클립스 svn을 사용해서 커밋을 하고 있었고 그 전에도 깃을 사용해 본 적이 없어서 기록용으로 남겨 봄

 

 

# 업로드 할 때

# 여러 파일을 한꺼번에 업로드 할 때
# 코드 수정 후 변경 사항 확인시
git status

# 스테이징(임시 저장)
git add .

# 커밋
git commit -m "커밋 메세지"

# 푸쉬
git push origin 브랜치명(작업 중인 코드의 이름표)

# 브랜치명 확인
git branch

#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# 한 개의 파일을 나눠서 업로드 할 때
# git add 파일명
git add index.html

# > 나머지는 위와 같이 진행

 


 

 

# 다운로드 할 때 :

로컬 현재 디렉토리에 파일이 없을 때와 있을 때의 차이 

# 원격 저장소에서 파일 가져오기(현재 디렉토리에 파일이 없는 경우)
# git checkout origin/브랜치명 -- 경로/파일명
git checkout origin/main -- src/app.js

# 파일이 있지만 코드가 다른 경우
# 1. 내 코드 변경하지 않은 채로 가져오기
git fetch
git checkout origin/브랜치명 -- 경로/파일명

# 2. 내 코드 무시하고 덮어쓰기 (작업 내용 폐기)
git checkout 브랜치명 -- 경로/파일명
# 강제 덮어쓰기
git restore --source=origin/브랜치명 --staged --worktree 경로/파일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