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271)
[GDB] 온라인 컴파일러 https://www.onlinegdb.com/ GDB online Debugger | Compiler - Code, Compile, Run, Debug online C, C++Online GDB is online compiler and debugger for C/C++. You can compile, run and debug code with gdb online. Using gcc/g++ as compiler and gdb as debugger. Currently C and C++ languages are supported.www.onlinegdb.com
[20250916 웹개발 이슈] 한글 파일명 이미지 - 이슈 상황웹페이지에서 이미지를 불러올 때 파일명이 운전면허증.jpg처럼 한글로 되어 있는 경우 개발 서버에서는 정상적으로 이미지를 불러오는데 운영 서버에서는 이미지를 정상적으로 불러 오지 못 했다. 는 걸 운영에 반영하고 나서야 깨달음 꺅 ! - 문제점 위과 같이 태그에 한글 파일명을 썼을 때, 브라우저는 실제로 아래처럼 자동으로 URL 인코딩하여 요청한다. 즉, 파일명의 한글이 인코딩되어 서버에 요청이 된다는 것 GET /images/%EC%9A%B4%EC%A0%84%EB%A9%B4%ED%97%88%EC%A6%9D.jpg따라서 서버가 이 인코딩된 요청을 디코딩해주지 않으면, 실제 존재하는 운전면허증.jpg 파일과 일치하지 않아 404 Not Found 에러가 발생하게 됨. 코드가 완전히 똑같은..
[C#] 프로젝트 정리 6 - 프로그램 종료 이후 남아 있는 프로세스들 자동 삭제 https://choittolbok.tistory.com/351 [C# / VisualStudio2022] 프로젝트 정리 5 - 프로그램 수정배포 전 프로그램 실행에는 문제 없지만 거슬리는 것들을 정리 1. 프로그램 실행시 자동으로 켜지는 ChromeDriver 콘솔 창 숨기기 크롬 드라이버에 오류 없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다는 콘솔창이지120ne.xyz 지난 번 작업에 이어 수정해야 할 것들을 기록해본다. 5. 작업관리자에 DB 내부 프로세스 기록이 자꾸 남음특히나 cub_cas와 같이 cub로 시작하는 이름들은 디비 관련 프로세스이기 때문에 꼭 삭제를 해줘야 한다. 다 쓰고 나서 정상적으로 종료 되지 않으면 계속 남아 있게 되는데.... 분명 close를 잘 썼는데도 불구하고 남아 있다. 이게 계속 남..
[Git] 스테이징시 .vs/ 디렉토리 권한 에러 처리 .vs/ 디렉토리(Visual Studio 설정 파일 포함)의 특정 파일에 읽기 권한이 없어 Git이 해당 파일을 처리하지 못하는 상황이다. .gitignore 파일에 .vs만 추가하면 됨. 저 에러가 떴을 땐 .gitgnore 파일이 없었기 때문에 루트 디렉토리에 추가만 해주면 되는 상황이었고, 그냥 메모장 하나 켜서 추가하면 끝난다. 저장할 땐 파일명 없이 .gitgnore만 입력. 그리고 다시 스테이징 작업 해주면 정상적으로 처리 되는 걸 확인할 수 있음
[C# / VisualStudio2022] 프로젝트 정리 5 - 프로그램 수정 배포 전 프로그램 실행에는 문제 없지만 거슬리는 것들을 정리 1. 프로그램 실행시 자동으로 켜지는 ChromeDriver 콘솔 창 숨기기 크롬 드라이버에 오류 없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다는 콘솔창이지만, 해당 프로그램의 사용자는 외부인이며 개발과 무관하다. 때문에 콘솔창이 노출될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는 오류로 오해할 소지가 있어 배포 전 해당 창이 표시되지 않도록 처리할 필요가 있다. private static ChromeOptions chromeOptions = new ChromeOptions(); // 클래스 단에서 객체 선언 public static void SetupChromeDriver() { try { ..
[ C# / CUBRID ] 프로젝트 정리 4 - 프로젝트와 DB 연동 https://120ne.xyz/349 [ C# / CUBRID ] 프로젝트 정리 3 - cmd로 큐브리드 서버 실행 및 테이블 생성https://choittolbok.tistory.com/348 [ C# + CUBRID ] 프로젝트 정리 2 - 큐브리드 설치 후 프로젝트 내 참조 추가이번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DB는 CUBRID이다. 실제 프로그램을 돌리는 PC는 접속이 불가한 상황120ne.xyz 테이블도 만들었으니 프로젝트와 로컬 DB를 연동해보자. 처음부터 해보면 좋겠지만 이 일지가 다음주 사용해야 할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작성되는 거라 미리 만들어 둔 프로젝트를 이용할 예정이다. - CUBRID 연결 방법private static string ConnectionString = "Server=lo..
[ C# / CUBRID ] 프로젝트 정리 3 - cmd로 큐브리드 서버 실행 및 테이블 생성 https://choittolbok.tistory.com/348 [ C# + CUBRID ] 프로젝트 정리 2 - 큐브리드 설치 후 프로젝트 내 참조 추가이번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DB는 CUBRID이다. 실제 프로그램을 돌리는 PC는 접속이 불가한 상황이라 로컬에 세팅 후 프로그램을 제작해야 했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를 해준다. 1. 먼120ne.xyz 위에서 C#내에서 큐브리드 사용을 위한 세팅까지 끝났다면 내 로컬에 DB 환경을 만들어주고, 그 로컬 DB에 접속해서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 한다. 레츠 기릿~~! 1. CUBRID 서버가 실행 되는지 확인C:\Windows\System32>cubrid service start++ cubrid service is running..
[ C# / CUBRID ] 프로젝트 정리 2 - 큐브리드 설치 후 프로젝트 내 참조 추가 이번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DB는 CUBRID이다. 실제 프로그램을 돌리는 PC는 접속이 불가한 상황이라 로컬에 세팅 후 프로그램을 제작해야 했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를 해준다. 1. 먼저 셋팅 전 어떤 방식으로 사용할지 정리 후 그에 맞는 파일을 다운받아야 한다. => 로컬에서 CUBRID DB 설치 + 테이블 생성 + 테스트용 C# 연동 - 큐브리드 설치는 아래 주소에서 함 (무료) https://www.cubrid.org/downloads CUBRID Foundation: DownloadsJoin the CUBRID Project onwww.cubrid.org 1. 큐브리드 엔진 다운 2. 큐브리드 매니저 다운 3. C#에서 사용할 ADO.NET 설치 를 해야 하는데 사이..